ISA 계좌의 만기는 계좌 개설 후 일정 기간(보통 3~5년)이 지나 만기가 도래할 때를 의미합니다. ISA 만기 시 선택할 수 있는 옵션과 절세 전략을 아래와 같이 정리했습니다.
1. ISA 만기 시
- 계좌 해지 후 수령
- 만기 시 계좌를 해지하고 원금과 이자를 수령할 수 있습니다.
- 이 경우 비과세 혜택이 적용되며, 비과세 한도를 초과하는 소득에 대해서는 9.9%의 분리과세가 부과됩니다.
- 계좌 만기 연장
- 만기된 계좌를 연장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연장 시 기존 계좌 내 자금은 유지되며, 추가 납입도 가능합니다.
- 금융소득이 높은 투자자는 만기를 연장하여 세금 납부를 지연하는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연금계좌로 이전
- 만기 자금을 연금저축계좌나 IRP(개인형퇴직연금)으로 이전할 수 있습니다.
- 이전 금액에 대해 10%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한도는 최대 300만 원입니다.
- 단, 이전된 금액은 연금 형태로만 수령 가능하며, 중도 인출 시 세금이 부과됩니다.
2. ISA 만기 기간과 연장 가능 여부
- 기본 만기 기간: 최소 3년
- 만기 이후에는 5년, 10년 등으로 연장 가능
- 연장 조건
- 만기 시점에 계좌를 연장하려면 금융기관에 요청해야 합니다.
- 연장한 계좌도 동일한 비과세 혜택이 유지됩니다.
3. 만기 자금 운용 전략
- 수령 후 재가입
- 만기 자금을 수령하고 새로운 ISA 계좌를 개설하면 새로운 납입 한도와 비과세 한도를 다시 받을 수 있습니다.
- 특히 2025년부터는 납입 한도(연 4,000만 원)와 비과세 한도(500만 원 또는 1,000만 원)가 상향되므로 재가입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 연금계좌로 이전
- 절세와 은퇴 자금 마련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 이전된 금액은 연금 형태로 수령 시 낮은 세율이 적용되며, 장기 투자 시 유리합니다.
- 만기 연장
- 소득이 높은 경우 만기를 연장하여 세금 납부를 지연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 계좌 내 자산을 계속 운용하면서 추가적인 금융소득을 얻을 수 있습니다.
4. 만기 시 세금 계산
- 비과세 한도 내 소득
- 서민형: 연 400만 원까지 비과세
- 일반형: 연 200만 원까지 비과세
- 비과세 한도 초과 소득
- 9.9%의 분리과세 적용
- 일반 금융소득세(15.4%)보다 낮은 세율로 과세
5. 만기 후 고려할 점
- 재가입 가능 여부: 만기 후 계좌를 해지하고 재가입하면 새로운 납입 한도와 비과세 한도를 다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연금계좌 이전 조건: 이전은 만기일로부터 60일 이내에 완료해야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계좌 해지 타이밍: 금융시장 상황을 고려하여 해지 시기를 신중히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개인의 재정 상황과 목표에 따라 가장 적합한 전략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