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주택 취득세율, 부동산 취득세율표

부동산을 구입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하는 세금 중 하나가 취득세입니다. 취득세는 부동산을 취득할 때 지방자치단체에 납부하는 세금으로, 부동산 종류, 취득 목적, 가격에 따라 세율이 달라집니다. 2025년 기준으로 취득세율과 세율표를 자세히 정리해보겠습니다.

 

부동산 취득세란? (취득세율, 취득세율표)

 

부동산 취득세란?

부동산 취득세는 부동산을 취득할 때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 취득 방법에 따라 매매, 증여, 상속, 신축 등의 다양한 방식이 있으며, 이에 따라 세율이 달라집니다. 취득세는 부동산 계약을 체결하고 30일 이내에 납부해야 하며, 납부 기한을 넘기면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 취득세 납부 대상

  • 부동산(아파트, 주택, 토지, 상가 등) 매매
  • 증여·상속을 통해 부동산 취득
  • 주택 신축 또는 증축
  • 분양권 취득

📌 취득세는 매매가뿐만 아니라 증여, 상속, 신축 등 부동산을 취득하는 모든 경우에 부과됩니다.

 

 

 

2025년 부동산 취득세율표

부동산 취득세율은 부동산 종류, 면적, 가격, 취득 목적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① 주택 취득세율 (1주택, 2주택, 3주택 이상)

✅ 취득세 = 기본 세율
✅ 지방교육세 = 취득세의 10% 추가 부과
✅ 총 부담 세율 = 취득세 + 지방교육세

 

모든 취득세율에는 지방교육세가 포함되므로 최종 부담 세율이 더 높아집니다. 이 때문에 1%가 아닌 1.1%로 계산되는 것입니다.

구분 취득세율 지방교육세 총 부담 세율
6억 이하 1주택 1.0% 0.1% 1.1%
6억~9억 구간 2.0% 0.2% 2.2%
9억 초과 구간 3.0% 0.3% 3.5%
2주택 (조정대상지역) 8.0% 0.4% 8.4%
3주택 이상 (조정대상지역) 12.0% 0.4% 12.4%

 

📌 1주택자는 가격에 따라 1.1% ~ 3.5% 적용
📌 2주택자는 조정대상지역이면 8.4%, 비조정대상지역이면 1주택자와 동일한 세율 적용
📌 3주택 이상이면 조정대상지역은 12.4%, 비조정대상지역은 8.4% 적용
📌 법인 및 4주택 이상 보유자는 무조건 12.4%

 

 

② 토지 및 상가 취득세율

부동산 유형 취득세율
일반 토지 4.0%
상업용 건물(상가) 4.6%
농지 3.0%
공장·창고 3.0%

 

📌 토지 및 상업용 건물(상가)은 4%~4.6%의 취득세율이 적용됩니다.
📌 농지는 3%, 공장·창고는 3%로 상대적으로 낮은 세율이 부과됩니다.

 

 

③ 증여·상속 취득세율

취득 유형 취득세율
증여 (부모 → 자녀) 12%
상속 (일반) 2.8%
상속 (배우자 1주택) 1.1%

 

📌 증여세는 12%로 매우 높기 때문에 신중한 계획이 필요합니다.
📌 상속은 일반적으로 2.8%의 세율이 적용되며, 배우자가 단독으로 1주택을 상속받을 경우 1.1%로 낮아집니다.

 

 

 

취득세 계산 방법

취득세는 부동산의 취득가액(실거래가)에 해당 세율을 곱하여 계산합니다.

 

✅ 취득세 계산 공식

취득세 = 부동산 가격 × 취득세율

 

 

 

 

✔ 예시 ①: 6억 원짜리 아파트(1주택자) 구매 시

  • 취득세율: 1.1%
  • 취득세 = 6억 × 1.1% = 660만 원

✔ 예시 ②: 9억 원짜리 아파트(2주택자) 구매 시

  • 취득세율: 8.4%
  • 취득세 = 9억 × 8.4% = 7,560만 원

✔ 예시 ③: 부모가 5억 원짜리 아파트를 자녀에게 증여할 경우

  • 취득세율: 12%
  • 취득세 = 5억 × 12% = 6,000만 원

 

 

부동산을 취득하기 전, 취득세를 미리 계산하여 재정 계획을 세우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취득세율은 정책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최신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