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자동차를 구매하거나 등록할 때는 단순히 차량 가격만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자동차 취득세와 등록세, 이른바 취등록세도 함께 준비해야 하죠. 2025년에도 자동차 취득 시 다양한 세금이 발생하며, 감면 혜택도 확대 적용되고 있어 정확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동차 취득세 등록세 세율부터 계산방법 및 자동 계산기 활용법까지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보를 정리해드립니다.
복잡한 자동차 취등록세, 직접 계산하지 마시고 아래 계산기로 간편하게 확인해보세요.
자동차 취득세
자동차 취득세는 자동차를 구매하거나 소유권을 취득할 때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 차량 가격에 일정 비율을 곱해 산정하며, 차량 종류와 용도에 따라 세율이 다릅니다.
✅ 취득세 세율
- 비영업용 승용차: 2%
- 영업용 승용차: 1%
- 경차: 면제
구매한 즉시 납부해야 하며, 자동차 등록 과정에서도 확인이 필수입니다.
자동차 등록세
자동차 등록세는 자동차를 취득한 후 등록하거나, 이전·변경·말소 등록할 때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 이 역시 차량 가격을 기준으로 세율을 적용해 산정합니다.
✅ 등록세 세율
- 비영업용 승용차: 5%
- 영업용 승용차: 3%
- 경차: 면제
취득세 + 등록세를 합치면 차량가액의 약 7% 정도를 추가 비용으로 준비해야 합니다. 단, 정확한 세율은 각 지자체별로 약간씩 다를 수 있으니 구매 전 등록 예정 지역의 홈페이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동차 취득세 등록세 계산 방법
자동차를 구매할 때 납부해야 하는 세금은 일반적으로 차량 가격에 세율을 곱해 계산됩니다. 이때 적용되는 세율은 취득세율과 등록세율을 합산한 것으로, 보통 약 7% 수준입니다. 예를 들어, 비영업용 승용차를 3,000만 원에 구매했다고 가정하면, 3,000만 원에 7%를 곱한 약 210만 원 정도의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즉, 차량 가격 외에 약 210만 원가량의 세금이 추가로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 (차량가격) × (취득세율 + 등록세율) ≈ 총 세금
- 3,000만 원 비영업용 승용차 구매 시 → 약 7% → 약 210만 원
이외에도 공채 매입 의무(일부 지역 한정) 등 지역별 추가 비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자동차 취등록세 계산기
자동차를 구매할 때 많은 분들이 차량 본체 가격만 보고 예산을 잡으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차량 가격 외에도 다양한 부대비용이 함께 발생합니다. 특히 가장 놓치기 쉬운 부분이 바로 자동차 취득세와 등록세, 즉 '취등록세'입니다.
이 비용은 차량 가격의 일정 비율로 책정되며, 차량 종류나 등록 지역, 사용 용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직접 계산하기가 까다롭습니다. 예를 들어, 일반 승용차와 화물차, 하이브리드 차량, 전기차는 모두 세율 기준이 다르며, 감면 혜택까지 따져야 하는데요. 이 모든 걸 직접 계산하려다 보면 실수할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 이용 방법
- 자동차365 홈페이지 접속
- 주요서비스 → [자동차 등록비용] 클릭
- 차량가액, 거주지역, 차종 입력 후 [계산하기] 버튼 클릭
계산기에서는 취득세, 등록세, 공채 매입비, 번호판 교체비 등 모든 비용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합니다.
자동차 구매 시 생각보다 많은 부대비용이 발생합니다. 특히 취득세, 등록세는 차량 가격의 7% 내외로 결코 적지 않은 금액이죠. 미리 정확하게 계산하고, 다자녀·친환경차·경차 감면 혜택을 잘 활용하면 수십만 원에서 수백만 원까지 세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내 차량의 예상 취등록세를 계산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