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자가 사망하면 남은 가족들은 법적 절차를 거쳐 재산을 상속받게 됩니다. 상속 과정에서는 법정 상속 순위, 상속재산의 종류, 세금 문제 등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배우자 사망 시 상속 절차, 세금 공제 혜택, 그리고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정보를 정리해 드립니다.
배우자 상속 순위 및 비율
배우자가 사망하면 법적으로 상속인에게 재산이 분배됩니다. 한국 민법에서는 법정 상속 순위에 따라 상속 비율이 정해집니다.
✅ 법정 상속 순위 및 상속 비율
- 1순위: 자녀 + 배우자 → 배우자 50%, 자녀 50% (자녀가 여러 명이면 균등 배분)
- 2순위: 부모 + 배우자 → 배우자 50%, 부모 50% (부모가 생존 시 균등 배분)
- 3순위: 형제자매 + 배우자 → 배우자 50%, 형제자매 50%
- 배우자 단독 상속 → 자녀, 부모, 형제자매가 없을 경우 배우자가 전액 상속
단, 자녀가 미성년자일 경우 법정대리인이 상속 절차를 대신 진행해야 합니다.
배우자 사망 시 상속 대상 재산
배우자가 남긴 모든 재산과 부채는 상속의 대상이 됩니다.
✅ 상속 대상 재산
- 부동산 (아파트, 토지 등)
- 금융자산 (예금, 주식, 보험금 등)
- 자동차, 특허권, 저작권 등 유무형 자산
- 부채 (대출, 카드빚 등)
✅ 배우자에게 상속 포기 및 한정 승인 선택 가능
- 부채가 많다면 3개월 내 법원에 ‘상속 포기’ 또는 ‘한정 승인’ 신청 가능
- 한정 승인은 상속받은 재산 한도 내에서만 부채를 변제하는 방법
상속포기 신청시 필요한서류
목차 상속 포기 부모님이나 가족이 장례가 끝나고 나면 상속 절차가 시작됩니다. 고인께서 남기신 재산을 가족들이 법정 상속 순서대로 배분하게 되는데 이때 예상하지 못한 여러 경우가 발생
ggolggack.com
상속세 신고시 필요한 서류 (준비서류, 신고기간)
목차 상속세의 신고 및 납부 기한은 상속개시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6개일 이내 마무리하여야 합니다. 피상속인이 2024년 4월 17일 사망하였다고 하면 상속세는 2024년 10월 30일까지 신고를 마
ggolggack.com
배우자 상속 공제 및 세금 혜택
배우자가 상속을 받을 때는 상속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배우자 상속 공제 혜택이 제공됩니다.
✅ 배우자 상속 공제 한도
- 최소 5억 원까지 공제 가능
- 배우자가 실제 상속받은 금액까지 최대 공제 가능
예를 들어, 배우자가 10억 원을 상속받았다면 최대 10억 원까지 상속세 공제 가능하지만, 공제 한도가 5억 원을 넘기려면 추가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 상속세 신고 기한: 배우자가 사망한 날로부터 6개월 이내 신고 및 납부 필수
상속세 면제 한도액(최신)
목차 ▸ 기초공제 ▸ 인적공제 ▸ 일괄공제 ▸ 배우자 상속공제 ▸ 금융재산공제 ▸ 동거주택 상속공제 ▸ 상속세 계산 가족의 사망으로 인하여 상속받았을 경우 상속 재산에 따라 세금의 크기
ggolggack.com
배우자 사망 시 상속 절차 진행 방법
1. 사망 신고 (사망 후 1개월 이내)
- 주민센터에서 배우자의 사망 신고 진행
- 가족관계증명서, 기본증명서 발급
2. 상속인 확인
- 법적 상속인 확인 (가족관계등록부 열람)
3. 재산 조회
- 금융자산, 부동산, 차량, 채무 내역 확인
4. 상속 방법 결정
- 단순 승인: 재산과 부채 모두 상속
- 한정 승인: 재산 한도 내에서 부채 상속
- 상속 포기: 모든 재산과 부채 포기 (법원 신청 필요)
5. 상속세 신고 및 납부 (6개월 이내)
- 상속세 공제 혜택 적용 후 세금 신고
6. 부동산 및 금융자산 명의 변경
- 등기소 및 금융기관에서 명의 변경 진행